최악의 경제재앙 확정인 듯


윤재앙이야 윤재앙..

보수가 집권하면 어김없이..

문재인은 주식하고 집값이라도 올려줬지 윤재앙은 어쩔..

시점이 문제이지 이래도 저래도 탄핵은 피할 수 없겠네.




세종=뉴스1) 이철 기자 =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월별 소비자물가가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고물가 행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5%대 물가상승이 이어지면서 올해 전체 상승률이 전년 대비 4%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 위기 후 최대폭 상승…이대로 가면 올해 4.3% 전망

4일 통계청의 "2022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2020=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 상승했다. 상승 폭은 전월인 4월(4.8%)보다 0.6%포인트(p) 확대됐다.

이는 2008년 8월(5.6%) 이후 13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문제는 이같은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데 있다. 통계청은 6월 소비자물가가 5월과 비교해 0.4% 이상 하락해야 물가상승률이 5%대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올해 물가는 전월 대비로도 매달 0.6~0.7%씩 상승해왔다. 이 흐름이 갑자기 하락 반전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일단 금융당국은 오는 6~7월 물가가 5월과 같이 5%대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는 이날 "6월과 7월에도 5%대의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국제유가와 국제 식량가격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최근 거리두기 해제로 수요 측 압력이 커지면서 물가 상승 확산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통계청은 현재 상승률 수준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올해 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4%대가 될 것으로 봤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금 수준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올해 상승률은 4.3%가 된다"며 "앞으로 진행되는 상황에 따라 가감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고공행진 중인 물가를 잡기 위해 3조원 규모의 긴급 대책을 내놨지만 별 소용없는 분위기다.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로 명명한 대책에는 돼지고기·커피 등 주요 수입품의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김치·장류 등 개별 포장 가공 식료품에 부가세를 면제하는 내용이 담겼다.

금융위기 이후 최고로 오른 고물가의 주요 원인이 우크라이나 사태, 국제유가 급등, 공급망 병목현상 등 외부요인에 있는 만큼 세금이라도 깎아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밥상 물가 안정으로 이어지도록 유도한다는 취지지만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전문가들도 올해 4%대 상승 전망…"대외 요인 변수"

전문가들도 당분간 고물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는 가운데 단기간으로는 6%대 물가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올해 물가 상승률이 4%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원자재 가격이 오르기 시작하면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에 전가된다. 당분간은 5%대 물가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올해 전체적으로 4%대의 물가 상승이 예상된다"며 "변수 중 하나는 원달러 환율이 다시 1100원대로 내려가면 수입 물가가 다소 안정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6~7월에 운이 없으면 6%대도 나오지 않을까 싶다"며 "지난해 6~7월이 물가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저효과도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환율을 비롯해 미국의 물가 상황과 원자재 수급 등 대외요인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우크라이나 사태도 있고 국제 유가, 곡물가 등 원자재 수급이 어떻게 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향후 불확실성은 매우 크다"며 "올해 전체 경제성장률이 4%대가 될 확률은 매우 높고 오히려 그 이상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실제로 상당히 심각한 상황으로 봐야할 것 같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급격하게 올리기 어렵기 때문에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며 "현재와 같은 물가 상승세가 뚜렷이 약화할 수 있는 요인들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철 기자(ir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