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사전투표 말 그대로 사전에 투표를 하는 것인데요.
이는 투표 당일날 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투표를 할 수 있겠끔 만든 제도.
투표 당일날 할 수 있는 분들은
투표 당일날 할 수 있는데 수일 방치되는
사전투표를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아! 투표 당일날 할 분들은 자신이
투표할 장소를 확실히 알기 바랍니다. 투표 장소 장난질을 칠 수도 있으니..
(사전투표율이 높아야 전체 투표율이 높아지니 사전투표 하지 말라고
하는 사람을 가끔 알바로 보는 시각이 있는데요.. 정말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전체 투표율이 높아질까? 라는 점은 맨 마지막 참고란에 남깁니다.)
봉인이 해체 되도 티 하나 안나는 투표함!!
뜯고 넣고 다시 붙히고~ 알 수 있나요?
CCTV가 있으니 안심? 아무도 없는 투표함만 찍고 있는 CCTV는 정지 화면과도 같고..
그래서 CCTV 조작을 걱정해서 시민단체가
선거관여 위원회에 시계를 놓자고 건의 했지만 묵살!! 이유는 시계 바데리가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 이런 말도 안되는 변명질..
티 하나 안나는 봉인 해체된 투표함을 보니 그 이유를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도대체 선거관여 위원회는 이런 허술하기 짝이 없는 투표함을 만들었을까요?
(참고)
10명의 유권자가 있다 가정 투표율은 70% 가정
그중 3명은 난 절대 투표 안해 "이 놈 저 놈 똑같아"
(1) 1명은 사전투표, 본투표 둘다 할 수 있음
(2) 1명은 사전투표만 할 수 있음
(3) 5명은 본투표 때 투표할 것임.
위 참고)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본투표율도 올라갈까?
(1) 본투표 때도 할 수 있지만 사전투표일에 투표 1명 (10%)
(2) 선택의 여지 없이 사전투표일에 투표 => 1명(10%)
사전투표율=>20% 그러면 본투표율은? =>50% 전체 투표율 70%
사전투표율이 높아지니 본투표율이 낮아짐
사전투표율이 낮아지면?
(1) 사전투표 안함
(2) 사전투표 함 (10%)
(3) 본투표함 (60%)
사전투표율=>10% 본투표율은? =>60% 전체 투표율 70%
사전투표율이 낮아지니 본투표율이 올라감
그중 3명은 난 절대 투표 안해 "이 놈 저 놈 똑같아"
(1) 1명은 사전투표, 본투표 둘다 할 수 있음
(2) 1명은 사전투표만 할 수 있음
(3) 5명은 본투표 때 투표할 것임.
위 참고)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본투표율도 올라갈까?
(1) 본투표 때도 할 수 있지만 사전투표일에 투표 1명 (10%)
(2) 선택의 여지 없이 사전투표일에 투표 => 1명(10%)
사전투표율=>20% 그러면 본투표율은? =>50% 전체 투표율 70%
사전투표율이 높아지니 본투표율이 낮아짐
사전투표율이 낮아지면?
(1) 사전투표 안함
(2) 사전투표 함 (10%)
(3) 본투표함 (60%)
사전투표율=>10% 본투표율은? =>60% 전체 투표율 70%
사전투표율이 낮아지니 본투표율이 올라감
선거당일 날 시간이 안났던 사람(2)은 그동안 본 투표를 하고 싶어도 못했겠죠? 그런 사람들이 사전투표를 하게되면 전체 투표율이 높아질 수 있겠죠? 사전투표 독려는 그런 사람들, 선거 자체를 하지 않던 사람들에게 투표를 독려하는행위이지 선거를 반드시 할 사람에게 독려하는 행위는 아님.
사전투표율이 낮아져서 전체 투표율이 낮아지려면 사전투표할 사람이 투표 자체를 하지않는 것!
그러면 사전투표율이 낮아지고, 전체 투표율도 낮아짐.
투표율이 높아지려면? 나 투표할 꺼야!(사전투표 또는 본투표) 라는 사람은 반드시 투표
나 투표 안할꺼야. (이놈 저놈 똑같아) => 이사람들이 투표장으로 가야 전체 투표율이 높아짐.
그게 아니라면 사전투표가 높아지면 본투표가 낮아지고, 사전투표가 낮으면 본투표가 높아짐.
왜냐하면 선거 할 사람은 정해져 있으니깐..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A 때 하느냐 B 때 하느냐의 차이 뿐!
그러면 사전투표율이 낮아지고, 전체 투표율도 낮아짐.
투표율이 높아지려면? 나 투표할 꺼야!(사전투표 또는 본투표) 라는 사람은 반드시 투표
나 투표 안할꺼야. (이놈 저놈 똑같아) => 이사람들이 투표장으로 가야 전체 투표율이 높아짐.
그게 아니라면 사전투표가 높아지면 본투표가 낮아지고, 사전투표가 낮으면 본투표가 높아짐.
왜냐하면 선거 할 사람은 정해져 있으니깐..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A 때 하느냐 B 때 하느냐의 차이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