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얼마전에 1월부터 방송을 시작한 '노다메 칸타빌레' 가 심야 애니메이션 첫회 시청률 최고 기록을 갱신했다는 것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또 현재 '노다메 칸타빌레' 이외도 'NANA' 나 'DEATH NOTE' 와 같은 20대 이상용 유명 만화 원작의 애니메이션이 심야에 방송되고 있어서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 최근 몇년사이에 많아진 20대 이상용 심야 애니메이션
 
근년 심야에 20대 이상용이라고 생각되는 애니메이션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충 2000년대의 애니메이션을 찾아보면


2000년  시작의 일보(はじめの

一歩)
2002년  하나다 소년사(
花田少年史
)
2004년  MONSTER(MONSTER)
2004년  지팡(ジパング)
2005년  투패전설 아카기(アカギ)
2005년  허니와 클로버(ハチミツとクローバー)
2006년  NANA
2006년  DEATH NOTE
2006년  허니와 클로버(ハチミツとクローバー2)
2006년  창천의 권(
蒼天
)
2006년  ANGEL HEART
2006년  오란고교 호스트부(
桜蘭高校ホスト
)
2006년  일하는 남자/워킹맨(
きマン)
2007년  노다메 칸타빌레(のだめカンタービレ)


주로 남성용의 차분한 인기 만화와 여성취향의 인기 만화의 애니메이션화 작품이 주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2~3년 동안에 후지계의 '노이타미나(NOITAMINA)' 나 니혼테레비의 심야 범위등에서 정기적으로 방송되게 되어 있습니다.


■ 히트곡이 태어날 가능성은 있는가?

 

20대 이상용의 심야 애니메이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만 이런 애니메이션의 히트곡 도 조금씩이나마 나오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투패전설 아카기' 에서는 맥시멈 호르몬(マキシマムホルモン)의 'ざわ・・・ざわ・・・ざ・・ざわ・・・・・・ざわ', 'DEATH NOTE' 에서는 나이트메어(ナイトメア)의 'the WORLD / 아르미나(アルミナ)', '허니와 클로버' 에서는 원 JUDY AND MARY 의 YUKI 가 노래하는 'ドラマチック' 이나 'ふがいないや' , 'NANA' 에서는 ANNA inspi' NANA (BLACK STONES) 나 OLIVIA inspi' REIRA TRAPNEST) 를 들을 수 있습니다.

확실히 위에 올린 작품으로 맥시멈 호르몬이나 나이트메어는 지금까지의 최고 매상을 올리고 있고, NANA 나 허니와 클로버의 주제가도 그 나름대로 애니메이션 동시에 올라갔다고 할 수 있습니다만 겉으로 보이는 정도로는 히트한 정도, 아직 대히트를 한 곡은 없는 듯 합니다.


[허니와 클로버]
- 7.7만매 02위 'ドラマチック' YUKI
- 3.9만매 06위 'ふがいないや' YUKI
- 1.4만매 20위 'ワルツ' スネオヘアー(스네오헤어)
- 0.7만매 34위 'スプリット' スネオヘアー

 

[NANA]
- 5.4만매 06위 'rose' ANNA inspi' NANA (BLACK STONES)
- 4.3만매 08위 'a little pain' OLIVIA inspi' REIRA (TRAPNEST)
- 2.8만매 07위 'Wish /Starless Night' OLIVIA inspi' REIRA (TRAPNEST)
- 2.0만매 07위 
'

' ANNA TSUCHIYA inspi' NANA
- 1.2만매 18위 'LUCY' ANNA TSUCHIYA inspi' NANA

 

[투패전설 아카기]
- 3.1만매 14위 'ざわ・・・ざわ・・・ざ・・ざわ・・・・・・ざわ' 맥시멈호르몬

 

[DEATH NOTE]
- 6.8만매 05위 'the WORLD / アルミナ' 나이트메어

 

[노다메 칸타빌레]
- 0.8만매 20위 'Allegro Cantabile' SUEMITSU & THE SUEMITH


■ 애니메이션에 있던 아티스트들

 

애니메이션과 동시에 올라가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드라마나 애니메이션 등의 주제곡의 히트의 열쇠가 되는 것은 그 시청층에 맞는 곡을 만들 수 있는 아티스트를 기용할 수 있을지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몇년 동안 많아진 20대 이상용의 심야 애니메이션” 의 구분함으로, 애니메이션화 되고 있는 것은 20 ~30대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남성용이 차분한 작품” 이고 ”여성취향의 인기 작품” 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애니메이션 작품에 맞는 아티스트는 다르겠지만, 한명의 기용 예로서 들고 싶은 것은 '허니와 클로버」입니다. YUKI 나 スピッツ・スガシカオ(스피츠 스가시카오)로, 90년대에 활약한 아티스트의 곡의 기용은 확실히 애니메이션의 시청자층에도 익숙한 것이 맞기 때문에 잘했다고 보여집니다. 또 TV 애니메이션과는 다릅니다만, 이번에 공개된 극장용 애니메이션 '초속5 센티미터' 의 주제가에는 야마자키 마사요시의 'One more time, One more chance' 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면 서서히 그러한 쪽으로 흘러가고 있는 모양입니다.

 

물론 지명도가 낮은 아티스트에 관해서도 능숙하게 애니메이션에 매치하면 작품에 따라서는 브레이크의 계기가 될 수 있을 만한 가능성도 있을 것이고, 향후 어떤 식으로 레코드 회사가 20대 이상용 애니메이션 주제가의 아티스트 기용에 지혜를 짜낼지를 보는 것도 볼만한 이슈거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http://dice1.blog69.fc2.com/blog-entry-353.html

원본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