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메이징한 일본의 110v를 쓰는 이야기


안녕! 과제하다가 빡쳐서 재밌는 이야기를 들고 왔어

일본 유학중인데 시부럴 과제를 뭐이렇게 많이 내는지 껄껄껄

여튼 오늘은 일본의 전압 이야기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해!

earth_consent.jpg

다들 알다 시피 일본은 110v를 써

뭐 일본은 지진이 많이 나서 220v가 위험하니 그런 소리를 하는데

그게 과연 사실일까?

또 그거랑 연관된 재미난 이야기를 하려고 해

1249_902672_1.jpg

물론 요즘 친구들은 저 11자 플러그가 낯설 수도 있어

물론 30대가 평균인 유게어린이들은 낯설지 않을거야!

나는 저거 이름이 도란스인지 몰라!

여튼뭐 예전에는 한국에서도 썼는데 요즘은 안쓰거든

대대적으로 승압공사를해서 220v로 바꿨어

물론 공대 실험실이라던가 병원에서는 쓰고있는게 함정

400px-800px-Map_of_the_world_coloured_by_voltage_and_frequency.png

여튼 전세계적으로 보면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110v보다는 220v를 선호해

예전에는 미국,일본때문에

110v = 선진국 220v = 후진국 이라는 개소리가 있었지만

저기 구라파놈들도 220v를 쓰는거 보면 개소리인걸 알거야

하지만 아직 110v를 쓰는 나라들도 이유가 있어

미국은 땅이 너무 넓어서 220v를 까는데 돈이 너무 많이 들고

캐나다도

야드파운드 십새끼들 영향때문에 저래된거야

그런데 땅덩어리도 미국에 비하면 ㅈ만한 일본은 왜 110v를 쓰는걸까?

참고로 말하자면

미국과 캐나다는 요즘 전기차충전기때문에 220v가 도입되고 있어(...)

8f8a2a255e569727e778a984d527d649.jpg

왜 많은 나라들은 되도록 220v를 쓰는걸까?

다름아니고 송전 될때 효율도 좋고

요즘 전기제품들이 전력을 하도 쳐먹어서

110v가지고는 커버가 안되서 그래

에어컨, 인덕션, 세탁기 등

전력을 무진장 처먹는데 이걸 110v로 커버하는게 쉽지가 않아

물론 송전할때 효율이 높아지는건 덤이야!

(사실 이게 주 목적이다)

54ED84D34257520034.jpg

흔히들 알려진 이유로

일본이 지진때문에 110v를 선호한다는건

정말이지 개소리에 가까워

어차피 재난현장에서 누전되면 가로쉬가 되는건 마찬가지인데 말이지

일본만큼 자연재해가 많은 뉴질랜드나 아이슬란드도 220v를 쓰고 있어

일본이 아직 110v를 쓰는 이유는

굳이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이야

2345CC3B55BDC5C418.jpg

일본의 수많은 가전제품 기업들은 이미 과거의 영광을 잃었지

그냥 싸구려 제품을 내수로만 팔아서 생존해 나가고 있어

110v를 나라에서 유지해 주니까

중국이나 한국산 대형가전들이 들어오기가 힘들어져

(소형 가전은 프리볼트가 많기때문)

굳이 나라에서는 돈써가면서 110v를 220v로 바꿀 필요도 없고

기업들도 110v의 쉴드 덕분에 개꿀을 빨기 때문이야

한국에서 20년전에 쓸법한 스펙의 물건들이 한국 최신형보다 비싸!

그런데 웃긴게 뭔지 알아?

m92850408850_1.jpg

일본도 200v 짜리 콘센트가 존재한다는것이다

전기를 많이 쳐먹는 에어컨이나 인덕션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110v로 감당이 안되기 때문에

200v짜리 콘센트가 집집마다 하나씩 있어

저거 호환플러그로 연결하면 한국에서 쓰이는

220v짜리 제품을 쓸수가 있다는게 함정

생각해보면 그냥 저거만 존나 깔면 될거같은데

으이구 병.신들

50ca5dd856c3aaa0fc3165ab66ebe24f_2.jpg

그런데 여기서 끝나면 재미가 없지

일본이라는 나라는 우리 상상보다 막장이라고 친구들

map04.jpg

일본이라는 나라의 전기계통의 막장인 주파수야!

주파수!

우리나라는 220v 60hz로 전국 공통인데

일본은 미쳤는가 돌았는가 어째된 판인지

관서는 60hz, 관동은 50hz로 나눠져있어

뭐 시바 관서는 독일식 발전기를 도입하고

관동은 미국식 발전기를 도입해서 저꼴이 났다는데

통일 하면 돈이 드니까 통일을 안했어 미췬놈들이

어? 이게 무슨 차이냐고 물을수 있는데

가전제품중 전력 소모량이 큰 친구들은 영향을 받게되더라고

특히 전자레인지가 제일 영향을 받는데

imgrc0072909989.png

50Hz/60Hz 겸용이라고 적혀있는거 보이지

요새는 애지간하면 겸용이 많은편이지만

때떄로는 아닌 물건도 있어

특히 이것때문에 해외 메이커들이

일본에 가전제품을 못판다는 말까지 나와

두가지 주파수에 대응하게 설계해야하고 귀찮으니까 말이지

50ca5dd856c3aaa0fc3165ab66ebe24f_2.jpg

이거는 문제의 축에도 못끼는게 문제다

thumbnail_l.jpg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차량용 블랙박스가 있어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문제가 생기는데

국내에서 쓰이는 블랙박스들은 대부분 30fps 정도야

1초에 30프레임을 찍는다는 뜻이지

국내 신호등은 100~120Hz 정도야

이게 왜 중요하냐고?

영상을 찍을때 fps는 셔터 스피드 속도야

fps가 물체의 움직임이 맞아 떨어지면 영상이 이렇게나와

문제는 일본 신호등의 주파수도 동네의 전력 주파수와 동일하게 50Hz/60Hz인데

덕분에 일본에서는 30fps짜리로 찍으면

60Hz를 쓰는 관서쪽 신호등이 제대로 안찍히고

25fps짜리로 찍으면

50Hz를 쓰는 관동쪽 신호등이 제대로 안찍힘